공공기관 지역인재 전형에 지원하려면
무엇보다 내가 다니는 학교가 ‘지역인재 대상 대학’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지방대니까 당연히 포함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학교만 지역인재로 간주됩니다.
만약 명단에 없다면, 아무리 요건이 맞아도 지역인재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지역인재 대상 학교 리스트의 의미,
✅ 확인 가능한 공식 경로,
✅ 학교 포함 여부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지역인재 대상 학교란?
「혁신도시법 시행령」 및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공공기관이 지역인재 채용 시 인정하는 비수도권 소재 대학 명단을 말합니다.
즉, 단순히 ‘수도권 외 학교’가 아니라
정부가 고시한 학교 리스트에 포함된 대학이어야 인정됩니다.
✅ 왜 확인이 중요한가?
- ✅ 일부 비수도권 대학이지만 리스트에 누락된 경우도 있음
- ✅ 특히 캠퍼스 분교, 편입생, 학점교류생 등은 더 꼼꼼히 확인 필요
- ✅ 채용공고 접수 시, 직접 ‘지역인재 대상자’ 체크를 해야 하며
허위 체크 시 불이익 가능
📌 채용 전형의 적용 여부가 달라지는 만큼, 꼭 사전 확인 필요!
✅ 2025년 기준 지역인재 학교 리스트 확인 방법
🔎 방법 1. 공공기관 채용공고 내 첨부파일 확인
- 워크넷, 공공기관 홈페이지, 잡알리오 등에서 채용공고 열기
- 하단 또는 별첨 파일 중
👉 ‘지역인재 인정대학 명단’, ‘지역인재 대상학교 리스트’ 파일 확인 - 본교 / 캠퍼스 명확히 구분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명칭 확인 필수
예시 파일명: 2025년도 지역인재 인정대학 명단.xlsx
🔎 방법 2. 국토교통부 고시 검색 (공식 경로)
- 국토교통부 누리집 접속
👉 https://www.molit.go.kr - ‘공지사항’ 또는 ‘고시/공고’ 메뉴 클릭
- 검색창에 ‘지역인재 인정대학’ 입력
- 연도별 고시 확인 가능 (PDF 또는 엑셀 파일로 제공)
✔️ 해당 고시는 매년 1회 이상 정기 업데이트되며,
학교 명칭, 위치, 본교/분교 여부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 방법 3. 취업진로센터 또는 교무처 문의
- 소속 대학의 진로취업팀, 교무과 등 행정 부서에서도
해당 정보 확인 가능 - 특히 캠퍼스가 여러 곳인 경우,
본교와 분교의 구분에 따라 자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히 확인 필요
✅ 캠퍼스/분교/편입생의 경우는?
본교가 수도권, 분교가 지방 | ❌ 대부분 지역인재 인정되지 않음 |
본교가 지방 | ✅ 캠퍼스 구분 없이 인정 |
편입생 | ✅ 최종 졸업 대학이 지방대학이면 인정 |
복수전공, 학점교류 | ❌ 수료 대학이 아닌 졸업 대학 기준 적용 |
📌 무조건 ‘최종 졸업 대학의 소재지’가 핵심 판단 기준
✅ 지역인재 학교 리스트 예시 (2025년 일부 발췌)
강원 | 강원대학교, 한라대학교 |
충북 | 충북대학교, 서원대학교 |
경남 | 경상국립대학교, 창원대학교 |
전북 | 전북대학교, 우석대학교 |
대구 |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
광주 |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 |
📌 위 리스트는 예시일 뿐이며,
정확한 정보는 반드시 해당 연도 고시 자료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 확인이 완료되었다면?
- 채용공고 지원서 작성 시 '지역인재 대상자' 체크 필수
- 간혹 학교명 자동 검색 또는 코드입력 방식인 경우,
리스트에 없는 학교는 자동 제외되므로 주의 - 공고 내 리스트와 내 학교명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
✔️ 대학명이 조금만 달라도 자동 탈락 처리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고시된 정식 명칭과 일치시키세요.
✅ 마무리하며
지역인재 전형은 지방대생에게 유리한 제도이지만,
그 기회를 누리기 위해선
내가 다니는 학교가 대상인지 철저히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나는 지방대 다니니까 당연히 되겠지"**라는 생각은
지원 과정에서 실수를 부를 수 있습니다.
정보는 알고만 있다고 끝이 아닙니다.
직접 확인하고, 체크하고, 적용하는 습관이
취업 성공의 첫걸음이 됩니다.